본문 바로가기
기계안전공학

[기계안전기술사] 기출문제 분석을 통한 핵심주제 1_지게차 작업안전

by metamongi 2023. 5. 2.

기계안전기술사 기출문제 분석을 통해 빈출 되는 핵심주제에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지게차 작업안전관련된 기출 핵심내용입니다.

1. (123회 1교시 12번) 산업안전보건법 개정, 시행(2021.1.16) 관련 건설기계관리법에서 적용 제외 되었던 지게차 운전자 교육이 추가되었는데 이에 대한 자격, 면허, 기능 또는 경험 조건을 설명하시오

  1)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른 지게차 운전기능사의 자격

  2) 건설기계관리법 제26조 제4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73조 제2항 제3호에 따라 실시하는 소형 건설기계의 조종에 관한 교육과정을 이수한 사람

 

2. (120회 1교시 13번) 지게차 헤드가드의 강도 및 상부틀의 각 개구의 폭 또는 길이를 설명하시오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80조(헤드가드)

  사업주는 다음 각 호에 따른 적합한 헤드가드를 갖추지 아니한 지게차를 사용해서는 아니 된다. 다만, 화물의 낙하에 의하

  여 지게차의 운전자에게 위험을 미칠 우려가 없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강도는 지게차의 최대하중의 2배 값(4톤을 넘는 값에 대해서는 4톤으로 한다)의 등분호정하중에 견딜 수 있을 것

  2) 상부틀의 각 개구의 폭 또는 길이가 16센티미터 미만일 것

  3) 운전자가 앉아서 조작하거나 서서 조작하는 지게차의 헤드가드는 [산업표준화법] 제12조에 따른 한국산업표준에서 정하는 높이 기준 이상일 것

 

3. (114회 1교시 8번) 지게차의 넘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역작업 시의 전후 안정도를 4% 이하로 제한하고 있는데, 안정도를 계산하는 식과 지게차 운행경로의 수평거리가 10m인 경우 수직높이는 얼마 이하로 하여야 하는지를 설명하시오

 1) 지게차의 안정도 계산식

     - 하역작업 시 지게차 전, 후 안정도

        : 4% 이내(5톤 이상은 3.5% 이내)

    - 하역작업 시 지게차 좌, 우 안정도

        : 6% 이내

    - 주행 시 지게차 전,후 안정도

        : 18% 이내

    - 주행 시 지게차 좌, 우 안정도

        : (15+1.1V)% 이내, 최대 40%

 

 2) 지게차 운행경로 수평거리 10m 경우 수직높이

     - 안정도 = (수직높이 / 수평거리)* 100

     - 4% 이하 = (수직높이/ 10m) * 100

     - 수직높이 = 0.4m

 

4. (111회 2교시 1번) 지게차 작업에서 검토해야 하는 다음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최소 선회반경

      수평면에 놓인 건설기계가 선회할 때 바퀴 또는 기동륜의 중심이 그리는 원형 궤적 가운데 가장 큰 반지름을 가지는 궤적의 반지름을 말한다.

  2) 최소 회전반경

      무부하 상태에서 지게차의 최저속도로 가능한 최소의 회전을 할 때 지게차의 후단부가 그리는 원의 반경

       * 최소 회전반경 : 1800~2750mm 정도로 선회 반경이 작다

  3) 최소 적재 통로 폭

       최소 적재 통로폭이란 하물을 적재한 지게차가 일정각도로 회전하여 작업할 수 있는 직선 통로의 최소폭을 말하며, 그 각도가 90도일 때를 직각 적재 통로폭이라 한다.

  4) 최소 직각 통로 폭

      최소직각적재 통로폭 약식 계산법

      A = R+(L-X)

      A : 최소직각 적재 통로폭

      R : 차량의 최소 회전반경

      X :  리치수프로크 - 오버행(FRONT)

 

5. (121회 3교시 2번) 지게차 관련 재해예방을 위한 안전관리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1) 지게차의 정의

     -차체 앞에 설치된 포크를 사용하여 화물의 적재, 하역 및 운반작업에 사용하는 운반기계

     - 적재, 하역, 운반작업이 포크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포크 리프트 트럭 또는 포크 리프트라고 하며 지게차라는 명칭은 운반, 하역 등에 사용했던 "지게"에서 인용한 것이다.

     - 건설기계관리법에 의한 지게차 범위는 " 공기압 타이어 식으로 들어 올림 장치를 가진 것"으로 규정

 2) 지게차의 방호장치

   (1) 전조등 및 후미등 

         야간작업 시 조명 확보와 지게차 위치 확인을 통해 안전한 작업이 되도록 설치하는 등화장치

   (2) 헤드가드

         운전자 위쪽에서 적재물이 떨어져 운전자가 다치는 위험을 막기 위해 머리 위에 설치하는 덮개

   (3) 백레스트

         지게차 마스트를 뒤로 기울일 때 화물이 마스트 방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짐받이 틀

   (4) 좌석안전띠

        지게차가 넘어질 경우 근로자가 운전석으로부터 이탈되어 발생할 수 있는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벨트

 

6. (117회 3교시 5번) 지게차 작업 시 주요 위험점 3가지와 그 위험요인, 작업계획서 작성시기를 쓰시오

   1) 지게차 작업 시 발생되는 주요 위험점(3가지)과 그 위험요인

       (1) 지게차 및 화물에 작업자 끼임

       (2) 지게차와 차량 사이에 작업자 끼임

       (3) 지게차 후진 시 작업자 끼임

   2) 지게차 작업 시 주요 위험 요인

       (1) 마스트와 프레임 사이에 끼임

       (2) 헤드가스와 바닥 사이에 끼임

       (3) 지게차와 작업자가 부딪힘

   3) 작업계획서 작성 시기

       (1) 일상작업은 최초 작업개시 전에 작성

       (2) 작업장 내 구조가 변화되었을 때 작성

       (3) 작업방법이 변경되었을 때 작성

       (4) 작업장소 또는 화물의 상태가 변경되었을 때 작성

       (5) 지게차 운전자가 변경되었을 때 작성

7. (124회 4교시 2번) 작업 전 사전조사 및 작업계획서 작성해야 할 작업 13종류와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작업의 작업계획서 내용 2가지를 설명하시오

 1) 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38조(사전조사 및 작업계획서의 작성 등)

    (1) 타워크레인 설치, 조립, 해체하는 작업

    (2) 차량계 하역운반기계등을 사용하는 작업(화물자동차를 사용하는 도로상의 주행작업은 제외)

    (3) 차량계 건설기계를 사용하는 작업

    (4) 화학설비와 그 부속설비를 사용하는 작업

    (5) 제318조에 따른 전기작업(해당 전압이 50 볼트를 넘거나 전기에너지가 250 볼트암페어를 넘는 경우로 한정)

    (6) 굴착면의 높이가 2미터 이상이 되는 지반의 굴착작업

    (7) 터널굴착작업

    (8) 교량(상부구조가 금속 또는 콘크리트로 구성되는 교량으로 그 높이가 5미터 이상이거나 교량의 최대 지간 길이가 30미터 이상인 교량으로 한정)의 설치 해체 또는 변경작업

    (9) 채석작업

    (10) 건물 등의 해체작업

    (11) 중량물의 취급작업

    (12) 궤도나 그 밖의 관련 설비의 보수 점검 작업

    (13) 열차의 교환, 연결 또는 분리 작업(입환작업)

 2)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사용 작업계획서 내용 

    (1) 추락, 낙하, 전도, 협착 및 붕괴 등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안전대책에 관한 작업계획 작성 -> 작업계획에 따라 작업 실시

    (2) 작업계획에는 차량계 하역운반기계 등의 운행경로 및 작업방법 포함

    (3) 작업계획을 작성한 때에는 그 내용을 당해 근로자에게 교육 실시

 

 

댓글